학교혁신이란
학교혁신이란?
자율과 다양화로 특성화된 교육과정과 교육활동 중심의 학교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여, 모두를 위한 『행복한 학교, 함께하는 강원교육』을 구현하기 위한 정책이다.
추진 목적
- 교육공동체의 자발성과 창조성에 기초한 학교장 자율·책임 운영 지원 확대로 공교육에 대한 신뢰성 제고 및 참여와 소통의 학교문화 창조
- 학교혁신 운영의 성과를 바탕으로 강원도 전 지역의 모든 학교가 학교 혁신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여 교육공동체의 만족도를 획기적으로 높임
- 강원특별자치도형 맞춤식 학교혁신 운영을 통한 모두를 위한 「행복한 학교 함께하는 강원교육」 구현
비전과 기본 방향
기본 정신
- 민주성 : 모든 학교구성원의 자발적 참여와 민주적 원리에 의해 운영되는 학교
- 전문성 : 협력적 문화 속에서 전문성을 향상시키며 학생의 전인적인 성장을 위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학교
- 공공성 : 모두의 존엄성이 존중되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교육의 공적인 사명과 책임을 실천하는 학교
- 지역성 : 지역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교육을 통해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공동체를 구현하는 학교
학교혁신의 비전

모두를 위한 교육
- 행복한 학교 함께하는 강원교육
- 학교혁신 보편화
- 학생ㆍ교사ㆍ학부모ㆍ지역사회
- 강원행복+학교
- 자발성
- 창의성
- 공공성
- 지역성
- 연구ㆍ전문기관
- 교육전문가, 연구위원 등
- 모니터링 및 평가
- 도교육청, 교육지원청
- 강원행복+학교 지원단
- 맞춤형 컨설팅 및 행ㆍ재정 지원
- 학부모ㆍ지역사회
- 학부모ㆍ지자체ㆍ시민단체 등
- 인적ㆍ물적 자원 활용
학교혁신의 기본 방향

소통과 공감의 학교문화
- 자율적이고 민주적인 학교운영
- 자율ㆍ실천의 리더십 확산
- 참여ㆍ소통 학교문화 확산
- 교육공동체 자치활동 보장
- 창의공감 교육 운영
- 학교별 교육과정 운영
- 학습자 중심의 수업 혁신
- 성장ㆍ배움의 평가 혁신
-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
- 교수ㆍ학습 중심의 시스템
- 교사 학습공동체 활성화
- 교원업무 정상화 지원
- 학부모ㆍ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학교
- 상호협력 네트워크 강화
- 학부모의 능동적 역량 강화
- 지역연계 교육활동 확대
○ 학교혁신 일반화를 위해 도내 모든 단위학교까지 학교혁신 정착
○ 단위학교에 학교혁신 과제를 제시하여 학교현장의 자율적인 참여 분위기 조성
○ 자율적 학교혁신 추진을 위한 체계적인 학교혁신 지원체제 구축
○ 체계적인 학교혁신연수 강화와 전문적 학습조직 활성화
○ 교육공동체 모두가 체감하는 학교혁신 사례를 적극 발굴·확산
○ 신설학교 개교 준비 과정에 학교혁신 문화를 정착할 수 있는 지원 시스템 마련
※ 추진 과제 체계
영역 | 추진 방향 | 추진 과제 |
1. 민주적 학교 운영 | ○ 참여와 소통의 학교문화 조성 ○ 민주적이고 배려하는 협력적 리더십 ○ 교직원·학생·학부모 자치 보장 | - 학교교육과정 함께 만들기 운영 - 학교혁신 대토론회 내실화 - 학교혁신지원단 구성·운영 - 학생 자치활동 활성화 - 학부모 학교 참여 추진 - 체인지메이커 운영 |
2.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| ○ 교원학습공동체 활성화 ○ 교육활동 중심의 학교조직 운영 ○ 학교업무정상화 안착 | - 교수·학습 중심 체제 운영 활성화 - 교원학습공동체 운영 활성화 - 학교업무정상화 정착 |
3. 창의공감 교육 운영 | ○ 모두의 삶을 위한 교육과정 ○ 모두가 참여·협력하는 수업 ○ 모두의 성장을 돕는 평가 | - 즐거운 공부를 위한 수업혁신 - 행복더하기학년 운영 - 평가 혁신 활성화 - 관계중심 생활교육 운영 - 교육과정 연계 공간혁신 |
4.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학교 운영 | ○ 삶의 역량을 키우는 교육활동 ○ 학부모의 능동적 참여 활성화 ○ 마을교육공동체 구축 | -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- 학부모 동아리 활성화 - 행복교육지구 사업 연계 활동 - 신설학교 학교혁신문화 정착 |